목록메타버스 (11)
글쓰기 습관 만들기
지금의 NFT 시장에서는 누구나 나만의 디지털 작품/소유물을 만들고 거래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이 더욱 대중화가 되기 위해 넘어야 하는 관문이 있습니다. 바로 법정화폐를 통한 결제 지원입니다. NFT 거래의 허들, 코인결제 NFT 거랴량이 지속적으로 증가(오픈씨, 1월 거래량 35억달러 돌파…사상 최고치 전망)하고 있고 시장 참여자들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대중화 되기 위해 아직은 '암호화폐'거래 라는 장벽이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직원이였다가 Opensea의 투자자로 합류한 분이 최근 트윗을 통해 "앞으로 NFT가 크립토를 리드할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NFT의 큰 문제는 on-boarding이다." 라고 이러한 문제를 지적했습니다. *여기에서 온보딩은 ETH 구매, 메타마스크 트랜스퍼,..
밈(Meme)에 투자하는 사람들 최근 5년 간 자신의 얼굴을 찍어 NFT를 만들고 오픈씨를 통해 판매한 인도네시아 청년이 화제가 되었습니다. 오픈씨 기준 거래 볼륨은 400 ETH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한 화10억 가량(1/25 기준) 각 이미지 하나는 가장 저렴한 상품 기준 0.25ETH로 300만원(1/25 기준) 가까이 됩니다. 이런 현상은 실제 작품이 지닌 가치보다는 컬렉션을 발행하는 형태가 추후 유행 (Meme)을 양산해낼 경우의 '오리지널이 가지는 가치'를 염두에둔 투기로 보고 있습니다. 이 NFT는 컴퓨터 앞에 헤드셋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의 이 NFT는 컴퓨터를 사랑하는 특유의 너드(NERD)의 감성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너드(NERD) 감성의 NFT를 응원하고, 밈으로..
세계 1위 스니커즈 리셀 플랫폼 스탁엑스(StockX)가 1/19일 공식 사이트를 통해 자체 보관하고 있는 나이키 한정판 신발 모델 8종에 연동된 NFT를 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해당 NFT 자산을 소유할 경우, Vault(금고) 형태로 실물은 스탁엑스에서 보관하고, 내가 수령하는 것은 NFT 증명서 형태일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렇게 되면 리셀 전문가들이 굳이 본인의 집에서 실물 스니커즈를 소유하고 관리할 필요성이 없어지게 됩니다. MZ세대에게 슈테크는 일상입니다. 친구들이 모여 있는 단톡방에서는 너도 나도 나이키 드로우 일정을 공유합니다.
메타버스는 또 다른 세계가 아닌 확장된 세계로서 브랜드는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할 수 있는 새로운 통로로서 메타버스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와 블록체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나이키의 사례를 통해 브랜드가 메타버스X블록체인를 활용하는 방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품군 확대 (ANALOG TO DIGITAL) 나이키는 최근 NFT 제작사 RTFKT(아티팩트) 스튜디오를 인수해 디지털 상품 출시를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나이키는 실물 상품에 국한하는 것이 아닌 디지털 상품으로 상품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결합 상품 출시 (ANALOG PLUS DIGITAL) 온라인에서 NFT 등의 디지털 굿즈를 구매하면 실제 제품을 오프라인으로 받아 볼 수 있는 상품들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나이키가 인수한..
게임사의 적극적인 메타버스 X 블록체인 행보는 이전 탭의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메타버스와 블록체인은 게임에서만 활용되는 기술일까요? 기존 브랜드와 유통사들은 메타버스와 NFT 등의 신기술을 어떤 방향으로 접목하여 활용되고 있을까요? 핵심 요약 현재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하면 집중 조명되는 게입 관련 산업 외 비(匪)게임 영역에서도 메타버스와 블록체인은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소유권 증명이 가능한 블록체인 기술은 디지털 자산을 양산하고, 디지털 공간을 구축할 수 있는 메타버스 기술은 이러한 자산의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브랜드와 유통사들은 메타버스와 NFT등의 신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활용을 하는 목적으로는, 상품군 확대 (ANALOG TO DI..
핵심 요약 키워드의 변화 : 지난해와 올해 테크 트렌트 키워드는 메타버스→ NFT→ WEB3.0 → DAO 순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지난해와 올해 테크 트렌트 키워드 중 NFT→ WEB3.0 → DAO는 모두 발전된 형태의 블록체인 입니다. 메타버스 가 디지털 세상이라면 블록체인은 디지털 세상을 구성하는 인프라, 기반 기술입니다. 최근 메타버스와 블록체인을 함께 이야기 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는 '디지털 내 존재하는 세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지만 블록체인을 접목한 탈중앙화 네트워크 기반의 메타버스가 요즘 인기입니다. (P2E 등) 2021 상반기 업계에서 가장 핫했던 키워드는 메타버스였습니다. 이 트렌드는 2021년 하반기 NFT로 옮겨가며, 분산형 저장소 기반의 생태계인 Web..
구글트렌드 국내와 해외 모두 2021 9월 이후 NFT 관련 관심도가 급증하며 1월에는 너도나도 NFT를 외치고 있습니다.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1월 주요 뉴스들을 모아보았습니다. 1월에는 SNS기업들의 NFT 진출 관련 소식이 많았습니다. 메타도, 트위터도, 애플도, 너도나도 NFT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트위터(Twitter), NFT 프로필 서비스 개시 메타(Meta), 페이스북·인스타 프로필에 NFT 연동 기능 출시 예정 유튜브(Youtube), 크리에이터 NFT 활용 지원 모색 중 넷플릭스(Netflix), NFT 시장 진출 가능성 암시 갭(GAP), 테조스 기반의 NFT 출시 람보르기니(lamborghini), 벤츠(Mercedes-Benz)도 NFT 시장 진출 SUPERPLASTI..
1) 인프라(네트워크 & 클라우드) 메타버스를 끊임없이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나 클라우드 서비스 등의 인프라 고도화가 필요하다. 네트워크는 5G의 보급 확대가 진행 중이며, 향후 6G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초저지연, 초고속의 특성을 견지해나갈 전망이다.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 동향을 살펴보면, 전 세계 64개국 153개 이동통신 사업자가 5G 상용 서비스를 정식 출시하였으며,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게임 콘텐츠, 영상미디어 등의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메타버스 역시 미디어 플랫폼으로써 성장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화를 전개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클라우드 서비스는 아마존(AWS.amazon), MS(AZURE.microsoft),구글(CL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