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습관 만들기

[자기 계발] 기획은 2형식이다 본문

LEARN

[자기 계발] 기획은 2형식이다

Wanna_be_polymath 2021. 6. 13. 16:44

점점 더워지는 요즘,

일요일 오후를 보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카페에서 시원한 바람을 쐬며 책읽는 것이 아닐까 싶다 ^^ 

 

오래 앉아있는 것에 익숙하지는 않지만, 

점점 더 그런 시간을 많이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다!!!

 

오늘 읽는 책은 남충식님이 지은 '기획은 2형식이다' 라는 책 

저자분은 광고업계에 종사하시는 기획자님으로 

이 책은 회사에 계신 기획을 기깔나게 하시는 분의 추천으로 읽게 되었다.

 

회사를 다니면서 정말 감사한 이유중 하나는 원하는 책을 무제한으로 구입해서 읽을 수 있다는점

 

 

이 책에서 기획은 "단순함의 미학" 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는 기획을 어렵게 접근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있어보이는 표현이나 구조가 멋있다고 생각하는 

우리들의 본질적인 사고의 오류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을 들게 한다. 

 

이 책은 총 4장으로 구성된다. 

각 장에서는 기획을 단순하게 생각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을 흐름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프로세스 정의 "플래닝 코드"
기획의 제 1형식 "P코드"
기획의 제 2형식 "S코드"
P와 S를 연결하는 "P-코드"

 

<프로세스 정의 "플래닝 코드">

책에서 정의한 멋진 기획이란 일목요연학 심플하고 명쾌하고 쉬운 기획이다. 

일목요연학 심플하고 명쾌하고 쉽다

 

우리는 기획을 할때 본질보다 현상에 집중하는 경항을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서 현상이란 '정보'이며, 

정보에는 아래 내용들이 포함된다. 

팩트, 이슈, 사건동향, 조사, 여론, 통계, 자료, 관찰, 추세, 추이, 의견, 이론, 지식, 지시 등 

 

기획의 과정에서 우리는 이러한 정보들을 '프로세스'화 한다. 

엄청난 양의 정보를 배열하는 '프로세스'는 종종 복잡하게 설계된다. 

 

그렇다면 단순한 기획에서의 프로세스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할까? 

 

책에서는 아래와 같이 문제와 해결을 2형식으로 정의하는 것이 기획의 핵심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Problem is _____________
Solution is _____________

 

또한 이러한 문제와 해결을 정의하는 과정에서, 

명확한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한다. 

 

1. 문제는 주어진 것이 아니다. 규정하는 것이다. 

2. 문제 규정은 가장 창의력이 필요한 것이다. 

3. 문제 규정은 기획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문제를 어떻게 잘 찾고 해결책을 잘 발생할 수 있을까? 

 

나머지 장에서는 위 ㄴㅐ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을 것 같은데... 남은 오늘 하루동안 열심히 읽어보려 한다! 

 

여기까지 기획은 2형식이다 83p 까지 읽고 작성한 글 !!